전체 보기(127)
-
가민 62s , 60st 발매!
https://buy.garmin.com/shop/shop.do?cID=&pID=63801# Physical & Performance: Unit dimensions, WxHxD: 2.4" x 6.3" x 1.4" (6.1 x 16.0 x 3.6 cm) Display size, WxH: 1.6" x 2.2" (4.1 x 5.6 cm); 2.6" diag (6.6 cm) Display resolution, WxH: 160 x 240 pixels Display type: transflective, 65-K color TFT Weight: 9.2 oz (260.1 g) with batteries Battery: 2 AA batteries (not included); NiMH or Lithium recommend..
2010.07.04 -
한국 디지털 지형도 (Korea Topo V8) 발매~
한국 디지털 지형도 v8 사용 용량 안내 본 한국 디지털 지형도 v8은 네베상사의 한글판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에 한하여 제공되는 상품입니다. 아래의 목록에서 사용하는 한글판 GPS와 지도 저장 용량을 꼭 확인하십시오 언어 모델명 필요한 메모리 용량 (Mb) 한글판 Colorado 300 SD 2Gb 이상 한글판 GPSMAP 60Csx Micro SD 2Gb 이상 한글판 Vista Cx Micro SD 2Gb 이상 한글판 Legend Cx Micro SD 2Gb 이상 한글판 GPSMAP 60 CS 56Mb 한글판 Vista C 56Mb 한글판 Legend C 56Mb 한글판 GPS V 28Mb 한글판 Vista 24Mb 한글판 Legend 12Mb 외장 메모리을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은 시중에서 2Gb 메모..
2010.06.16 -
아이폰4? 아이폰HD? 7월 18일 한국발매!
아이폰 4(iPhone4), 혹은 아이폰 HD (공식명칭은 아이폰 4) 이다.. 6월7일 잡스횽아가 WWDC10 에서 공개했다. 가격은 16gb 199불, 32gb 299불 (2년약정가..) 대박인건 한국 7월 18일 발매! 이건 나오자 마자 사야돼!! http://www.apple.com/kr/iphone/features.html 멀티테스킹의 iOS4 도 공개됐다. 그럼...질러보자!
2010.06.08 -
X-히말라야 : 히말라야를 패러글라이딩으로!
산악인 박정헌, 패러글라이딩 한국 챔피언 홍필표, 패러글라이딩 에어로바틱 한국대표 함영민이 함께하는 히말라야 대 원정! 2011년 봄-여름 총 연장 2400km! 낭가파르밧 - K2 - 안나푸르나 - 에베레스트 - 칸첸중가 까지! 히말라야산맥의 능선을 패러글라이더로 주파!! 저는 위 3인을 서포트 하는 메인서포터로 활동을 준비중입니다. 생각도 못한 대 도전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 제 능력을 발휘해서 성공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발휘해야 겠죠.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2010.06.07 -
기업의 의도적인 기술억제에 대해..
IPad APPLEⓒ 2010년 3월 애플의 아이패드가 출시 되었다. 한국은 아직 출시전이지만... 본 블로거도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데.. 한가지 안타까운 소식은 카메라 부분의 공간이 설계에 포함되어 있으나 빠졌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업의 이윤 추구를 위해 의도적으로 제품에 기술을 억제하여 출시하는 예가 있는데.. 이번 글에서 거기에 대해 간단하게 적어 보도록 하자. 기업의 기술억제는 많은 기업에서 쓰고 있는 제품 출시 방법이다. 그 예를 들어보자. 캐논의 카메라 300D는 10D의 마이너 모델로서, 2003년 출시되었다. 출시 당시는 저가형 디지털 SLR의 폭풍을 불러왔지만, 캐논의 의도적인 소프트웨어적 기술차단을 통해 10D에 들어가 있던 ISO3200, one-shot focus 가 없어졌고, 이..
2010.05.14 -
우리는 '이런 거' 왜 못만드냐고? - 오마이뉴스 강인규 기자
우리는 '이런 거' 왜 못 만드냐고? [뉴미디어기획 9] 아이폰-아이패드 충격과 창의성의 근원 10.05.01 18:16 ㅣ최종 업데이트 10.05.07 09:01 강인규 (foucault) 애 플, 강 인규, 한 국IT, 창 의성, 아 이폰, 아 이패드 대학에서 뉴미디어를 연구하고 가르치면서 깨달은 게 있다. 기술과 사회는 서로 뗄 수 없는 관계라는 것이다. 사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다. 기술이나 혁신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게 아니라, 사회 속에서 태어나고 자라고 소멸하는 사회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기술의 사회적 형성'이라는 관점으로 한국사회를 살펴보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우선 "우린 이런 거 왜 못 만드냐"는 질문에서 시작해 보자. 최근 들어 정계와 재계의 지도자들이 자주 입에 올리는 말이다. 애..
2010.05.08